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건소 산전검사 신청 남자 여자대상과 필수검사 결과후기

by 럭키에용 2025. 3. 23.

*보건소 산전검사 신청 남자 여자대상과 필수검사 결과후기*e 보건소 산전검사도 함께

보건소 산전검사 (Prenatal Check-up) 완벽 가이드

산전검사는 임신 초기에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확인하고,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진행됩니다. 주요 검사 항목과 의미, 검사 시기 등을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1. 보건소 산전검사의 필요성

✅ 임신 초기부터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점검
✅ 임신 중 합병증(고혈압, 당뇨, 빈혈 등) 예방 및 조기 발견
✅ 감염병(풍진, B형 간염, 매독, HIV 등) 확인 후 치료 및 관리
✅ 태아의 기형 및 유전적 질환 여부 확인


2. 산전검사 항목 상세 정리

🔹 1) 기본 혈액 검사 (임신 확인 후 첫 방문 시)

검사 항목검사 목적결과 해석
혈액형(A, B, O, AB & Rh) 산모와 태아의 혈액형 부적합(특히 Rh- 확인) Rh-인 경우 면역 글로불린 주사 필요
빈혈 검사 (CBC,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등) 임신 중 빈혈 여부 확인 정상 수치보다 낮으면 철분 보충 필요
간 기능 검사 (AST, ALT, 총빌리루빈 등) 간 기능 이상 여부 확인 (임신 중독증 감별)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추가 검사 필요
신장 기능 검사 (BUN, 크레아티닌 등) 신장 건강 확인 신장 질환 의심 시 추가 검사 필요
혈당 검사 (공복 혈당, OGTT 50g/75g) 임신성 당뇨 진단 기준 초과 시 추가 검사 필요
갑상선 기능 검사 (TSH, Free T4) 갑상선 질환(저하증, 항진증) 확인 갑상선 질환이 있으면 치료 필요

 

🔹 2) 감염성 질환 검사 (필수)

검사 항목검사 목적결과 해석
B형 간염 항원·항체(HBsAg, HBsAb) 산모의 B형 간염 감염 여부 확인 양성이면 신생아 예방접종 및 면역 글로불린 필요
C형 간염 검사 (HCV Ab) C형 간염 여부 확인 양성이면 추가 검사 필요
매독 검사 (VDRL, RPR, TPHA) 매독 감염 여부 확인 양성이면 치료 필요
HIV 검사 에이즈 감염 여부 확인 양성이면 관리 및 신생아 예방 필요
풍진 면역 검사 (Rubella IgG, IgM) 풍진 감염 또는 면역 여부 확인 IgG 음성이면 예방접종 금지, 출산 후 접종 권장
톡소플라스마 검사 기형 유발 가능성 확인 IgM 양성이면 추가 검사 필요

🔹 3) 소변 검사 (보건소 매 방문 시)

검사 항목검사 목적결과 해석
단백뇨 검사 임신중독증(고혈압+단백뇨) 감별 양성이면 추가 검사 필요
당뇨 검사 임신성 당뇨 여부 확인 지속적인 당 검출 시 추가 검사 필요
세균 검사 요로감염 여부 확인 양성이면 항생제 치료 필요

🔹 4) 초음파 검사

검사 시기검사 목적
6~9주 태낭 확인, 심장 박동 확인, 임신 주수 결정
11~13주 태아 목덜미 투명대(NT) 검사 → 다운증후군 위험 평가
16~20주 태아 성장 확인, 주요 장기(심장, 뇌, 신장 등) 기형 확인
20~24주 상세 정밀 초음파 (이상 기형 확인)
30~32주 태아 성장, 양수량, 태반 위치 확인
36~40주 출산 준비, 태아 위치 및 건강 상태 점검

🔹 5) 기형아 검사 (선별검사)

검사 항목검사 시기검사 목적
1차 기형아 검사 (PAPP-A, hCG) 11~14주 다운증후군, 에드워드증후군 선별
쿼드 검사(AFP, hCG, uE3, Inhibin A) 16~18주 신경관 결손, 다운증후군 선별
NIPT(비침습적 태아 DNA 검사) 10주 이후 고위험군 대상, 다운증후군 등 확인
양수검사 16~20주 염색체 이상 확진 검사 (고령임신, 고위험군)

 

 


🔹 6) 임신 후반기 검사 (24~40주)

검사 항목검사 시기검사 목적
임신성 당뇨 검사 (50g OGTT) 24~28주 혈당 조절 필요 여부 확인
B형 연쇄구균(GBS) 검사 35~37주 신생아 감염 예방 (양성이면 항생제 치료)
태동 검사(NST) 36주 이후 태아 건강 상태 확인

3. 보건소 산전검사 지원

대상: 임신 초기 등록한 임산부 (각 지역 보건소마다 다를 수 있음)
검사 항목:

  • 기본 혈액 검사
  • 감염병 검사 (B형 간염, 매독, HIV 등)
  • 빈혈 검사
  • 기형아 검사(일부 보건소 지원)
  • 임신성 당뇨 검사 (일부 보건소 지원)
    검사 방법: 보건소 방문 후 임신 확인서 제출 → 무료 검사 진행
    검사 결과: 보건소 홈페이지(e보건소)에서 확인 가능

4. 보건소 산전검사 시 유의사항

 

🔹 공복이 필요한 검사 (혈당, 일부 호르몬 검사) 전날 밤부터 금식
🔹 특정 질환(고혈압, 당뇨 등)이 있는 경우 추가 검사 필요
🔹 검사는 산부인과에서 추가로 진행할 수도 있음

 

보건소는 공공보건의료기관(보건소, 의료원 등)에서 받은 산전검사 결과를 온라인으로 조회하고 출력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1. 개인정보 수집 및 본인인증 동의: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개인정보 수집 및 본인인증에 동의해야 합니다.
  2.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3. 본인인증: 간편인증(카카오톡, 네이버, 페이코 등) 또는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통해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
  4. 검사결과 조회: 인증 후 '검진/검사결과 조회' 메뉴에서 '산전검사'를 선택하여 결과를 확인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는 일반적으로 검사일로부터 1주일 후에 확인 가능합니다. 단, 보건소별로 검사 항목과 절차가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해당 지역 보건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검사는 개인별 건강 산전검사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정기적인 검사와 관리를 통해 건강한 출산을 준비하세요! 

 

산전검사외 일반인들 보건소 검진을 더 상세하게 알고싶으시면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더 많은 내용들이 있어요!! 더많은 정보 더 많은 보건소 정보 클릭 https://buly.kr/5q6waPn

댓글